DBMS 2

[데이터베이스/DB] SQL 세 종류 - DDL / DML / DCL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명령어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SQL이 무엇인지는 이전 포스팅에서 DBMS와 함께 정리해놨다. DDL DDL은 Data Definition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 언어이다. 스키마(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등 데이터 전체의 골격을 결정한다. CREATE : 테이블 혹은 데이터베이스 생성 ALTER : 테이블 수정 DROP : 테이블 혹은 데이터베이스 삭제 TRUNCATE : 테이블 초기화 DML DML은 Data Manipulation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 조작어이다. DDL을 통해 정의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레코드를 조회, 수정, 삭제하는 등 글자 그대로 데이터를 ..

[서버/Server] 백엔드 틀 잡기 1/5 - 서버 개요

Soft squared 서버반 수업을 들으며 정리한 내용이다. 서버란 ? 네트워크와 같은 과목을 공부하다 보면 위의 사진을 쉽게 접했을 것이다. 사진을 보면 client가 서버에 요청을 하고 server는 요청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해서 응답하는 모습을 보인다. 현실 세계에 빗대어 봤을 때 클라이언트를 손님, 서버를 종업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종업원이 굳이 필요할까 ? 해당 주제로 간단하게 토론을 했다. 종업원은 실질적으로 음식을 요리하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종업원이 필요하지 않은 곳도 있을 것이다. 사장님이 모든 것을 해결하는 곳이나 손님이 많이 없어 한적한 곳이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반면 종업원을 꼭 써야 하는 경우는 언제일까? 바로 손님이 너무 많이 몰려 사장 혼자서는 일을 해낼 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