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포워딩 2

[서버/Server] Bitnami로 구축한 서버에 외부 접속하기

Bitnami란 무엇일까? 소프트 스퀘어드 1주차 과제는 Ubuntu 위에 APM을 컴파일 설치해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2주차까지는 반복적으로 서버 구축을 하여 익숙해진다고 들었다. 이번에는 편하게 Bitnami를 이용할 것이다. 위키백과에서 bitnami 를 가상 어플라이언스 및 웹 앱, 개발 스택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및 설치 라이브러리라고 서술한다. 쉽게 말해 복잡한 과정의 어플리케이션 솔루션들을 패키지로 만들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그 중 웹 서버 구축에 필요한 Bitnami WAMP를 사용할 것이다. WAMP는 Window 환경에 Apache / MySQL / PHP를 한 번에 설치해준다. 설치 및 실행 bitnami 사이트에서 설치 후 localhost 혹은 12..

[서버/Server] 백엔드 틀 잡기 2/5 - 네트워크

컴파일 설치와의 작별 소프트 스퀘어드 에서의 1주차 과제는 Linux 위에 APM을 컴파일 설치하여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단순히 apt와 같은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했으면 편했겠지만 컴파일 설치가 왜 중요한지, 어떨 때 사용하는지를 알 수 있었고 덕분에 CLI (Command Line Interface) 환경에 조금 더 친숙해졌다. 어제 2주차 수업을 들으며 앞으로는 컴파일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나름 희소식을 들었다. 스타벅스 가서 아메리카노 마실래 뚱딴지 같은 소리로 들릴 수도 있지만 2주차 Network 수업은 위의 문장으로 시작됐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래의 설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유한 것이다. 개인적으로 설명을 들을 때 이렇게 비유와 예시가 동반되면 이해하기 훨씬 수월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