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Certification

[정보처리기사] 5과목 2장 - IT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posted by sangmin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2장. IT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166.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 IoT는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 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M2M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IoT 개념으로 진화
  • 주요 기술
    • 스마트 센싱 기술
    •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사물 인터넷 인터페이스 기술
  • 개방형 아키텍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정보 보안 기술의 적용이 주요

M2M (Machine to Machine, 사물 통신)

  • M2M은 무선 통신을 위한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
  • CDMA (부호 분할 다중 접속), GSM, 무선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무선 통신망 사용

모바일 컴퓨팅 (Mobile Computing)

  • 휴대형 기기로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
  • 모바일 컴퓨팅의 진화로 기업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개인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 각종 컴퓨팅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
  • 그리드 컴퓨팅은 수많은 컴퓨터를 하나의 컴퓨터처럼 묶어 분산 처리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연산에 사용된다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중앙의 대형 데이터 센터의 컴퓨팅 자원을 필요한 순간에 빌려주는 방식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MCC, Mobile Cloud Computing)

  •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여러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는 ICT 기술
  • 모바일 기기의 기종이나 운영체제와 같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자원들을 제약 없이 이용 가능

인터클라우드 컴퓨팅 (Inter-Cloud Computing)

  •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나 자원을 연결하는 기술
  • 인터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형태
    • 대등 접속 (Peering)
    • 연합 (Federation)
    • 중개 (Intermediary)

메시 네트워크 (Mesh Network)

  •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등 특수 목적을 위한 네트워크 기술로,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있음

와이선 (Wi-SUN)

  •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필요로 하는 IoT 서비스를 위한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 짧은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이 빈번한 검침 분야에 유용

NDN (Named Date Networking)

  • 콘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기술
  • 기존의 IP망을 대체할 새로운 인터넷 아키텍처로 떠오르는 기술

NGN (Next Generation Network, 차세대 통신망)

  •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여러 사용자가 네트워킹을 가상화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 고주파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UWB (Ultra WideBanc, 초광대역)

  • 짧은 거리에서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낮은 전력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기술
  • 블루투스와 비교되는 기술

피코넷 (PICONET)

  •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 수십 미터 이내의 좁은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과 정지 또는 이동 중에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는 특징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 웨어러블 또는 몸에 심는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킹 기술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 정보 시스템)

  • 지리적인 자료를 컴퓨터 응용 시스템으로, 위성을 이용해 모든 사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 각종 센서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 필요한 모든 것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이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정보를 관리하는 것

SON (Self Organizing Network, 자동 구성 네트워크)

  • 주변 상황에 맞추어 스스로 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애드 혹 네트워크 (Ad-hoc Network)

  • 재난 현장과 같이 별도의 고정된 유선망을 구축할 수 없는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만을 이용하여 구성한 네트워크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BLE, Bluetooth Low Energy)

  • 일반 블루투스와 동일한 2.4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연결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 절전 모드를 유지하는 기술

지능형 초연결망

  • 스마트 시티, 스마트 스테이션 등 급격하게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시행되는 정부 주관 사업

167. 네트워크 구축

네트워크 (Network) 설치 구조

  • 통신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공간적으로 배치하는 방법

성형 (Star, 중앙 집중형)

  • 중앙에 중앙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장치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식의 네트워크 구성 형태
  • Point-to-Point 방식으로 회선 연결
  • 단말장치의 추가와 제거가 쉬움
  • 하나의 단말장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단말장치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중앙 컴퓨터가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의 기능이 정디

링형 (Ring, 루프형)

  • 컴퓨터와 단말장치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시킨 형태
  • 분산 및 집중 제어 모두 가능
  • 단말장치의 추가, 제거 및 기밀 보호가 어려움
  • 단방향 링의 경우 어느 하나라도 고장나면 전체 통신망에 영향을 미침

버스형 (Bus)

  • 한 개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
  • 단말장치의 추가와 제거가 용이하나, 기밀 보장이 어렵고 통신 회선의 길이 제한이 있음
  • 단말장치가 고장나더라도 통신망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음

계층형 (Tree, 분산형)

  • 분산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

망형 (Mesh)

  •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장치를 서로 연결한 형태
  • 많은 단말장치로부터 많은 양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리 (공중 데이터 통신망)
  • 통신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네트워크 분류

  • 근거리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 회사, 학교 등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등과 같은 자원을 연결하여 구성
    •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에러 발생율이 낮음
    • 버스형이나 링형 구조 사용
  • 광대역 통신망 (WAN, Wide Area Network)
    • 국가와 국가 혹은 대륙과 대륙 등 멀리 떨어진 사이트들을 연결하여 구성
    • 통신 속도가 느리고 에러 발생률이 높음

168. 스위치

스위치 (Switch) 분류

  • 스위치는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
  • L2 스위치
    • 데이터링크 계층에 속하는 장비
    • 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 전송
    • 동일 네트워크 간의 연결만 가능
  • L3 스위치
    •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는 장비
    • L2 스위치에 라우터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 전송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 가능
  • L4 스위치
    • 전송 계층에 속하는 장비
    • 로드밸런서가 달린 L3 스위치
  • L7 스위치
    • 응용 계층에 속하는 장비
    • IP 주소, TCP/UDP 포트 정보에 패킷 내용까지 참조하여 세밀하게 로드밸런싱

스위칭 방식

  • Store and Forwarding : 데이터를 모두 받은 후 스위칭
  • Cut-through :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만을 확인한 후 바로 스위칭
  • Fragment Free : 위의 두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

백본 스위치 (Backbone Switch)

  • 백본 (Backbone) : 여러 네트워크들을 연결할 때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 백본 스위치는 백본에서 스위칭 역할을 하는 장비로, 모든 패킷이 지나가는 네트워크의 중심에 배치
  • 주로 L3 스위치가 백본 스위치 역할

Hierarchical 3 Layer 모델

  • 액세스 계층
    •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최초로 연결되는 지점
    • L2 스위치 사용
  • 디스트리뷰션 계층
    • 액세스 계층에서 오는 통신을 집약해서 코어 계층으로 전송
    • LAN 간에 라우팅 기능을 수행
    • 라우터, L3 스위치 사용
  • 코어 계층 (= 백본 계층)
    • 디스트리뷰션 계층에서 오는 통신을 집약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계층
    • 백본 스위치 사용

169. 경로 제어 / 트래픽 제어

경로 제어 (Routing)의 개요

  • 송수신 측 간의 전송 경로 중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
  • 경로 제어 요소 : 성능 기준,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 정보 발생지, 경로 정보의 갱신 기간

경로 제어 프로토콜 (Routing Protocol)

  • 효율적인 경로 제어를 위해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 교환, 제어하는 프로토콜
  •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하나의 자율 시스템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RIP : 소규모
    • OSPF : 대규모
  •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EG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짐
    •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 테이블을 전달하는 데 주로 이용

트래픽 제어 (Traffic Control)의 개요

  •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 또는 그 양을 조절하는 기능
  • 종류
    • 흐름 제어 / 폭주 제어 / 교착상태 방지 기법

흐름 제어 (Flow Control)

  • 네트워크 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송수신 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기능
  • 수신 측 버퍼의 오버플로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
  • 정지-대기 (Stop-and-Wait)
    • 수신 측의 확인 신호 (ACK)를 받은 후에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 한 번에 하나의 패킷만을 전송
  • 슬라이딩 윈도우 (Sliding Window)
    • 수신 측의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
    • 확인 신호를 받지 않더라도 미리 정해진 패킷 수만큼 연속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한 번에 여러 개의 패킷을 전송 할 수 있음
    • 이때 보낼 수 있는 패킷 수의 최대치가 바로 Window Size

폭주(혼잡) 제어 (Congestion Control)

  • 네트워크 내의 패킷 수를 조절하여 네트워크 오버플로를 방지하는 기능
  • 느린 시작 (Slow Start)
    • 윈도우 크기를 1, 2, 4, 8, … 과 같이 지수적으로 증가시켜 초기에는 느리지만 갈수록 빨라짐
    • 전송 데이터의 크기가 임계값에 도달하면 혼잡 회피 단계로 넘어감
  • 혼잡 회피 (Congestion Avoidance)
    • 회피를 위해 윈도우 크기를 1씩 선형적으로 증가시켜 혼잡을 예방하는 방식

교착상태 (Dead Lock) 방지

  • 교착상태란 교환기 내 패킷들을 축적하는 기억공간이 꽉 차 다음 패킷들이 기억공간에 들어가기 위해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
  • 패킷이 같은 목적지를 갖지 않도록 할당하고, 교착상태 발생 시 한 단말장치를 선택하여 패킷 버퍼 폐기

170. SW 관련 신기술

인공지능 (AI, Artificial Intelligence)

  • 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간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 일론 머스크가 사람의 뇌와 컴퓨터를 결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

딥 러닝 (Deep Learning)

  •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만들어진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 학습 기술

전문가 시스템 (Expert System)

  • 의료 진단 등과 같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수행하는 고도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증강현실 (AR, Augmented Reality)

  • 실제 촬영한 화면에 가상의 정보를 부가하여 보여주는 기술

블록체인 (Blockchain)

  •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금융 거래 정보를 온라인 네트워크 참여자 디지털 장비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

분산 원장 기술 (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P2P 망 내 참여자들에게 모든 거래 목록이 분산 저장되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디지털 원장

해시 (Hash)

  • 임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값으로 변환하는 것

양자 암호키 분배 (QKD, Quantum Key Distribution)

  • 양자 통신을 위해 비밀키를 분배하여 관리하는 기술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 (PET, Private Enhancing Technology)

  • 개인정보 위험 관리 기술

디지털 저작권 관리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 데이터의 안전한 배포를 활성화하거나 불법 배포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공통 평가 기준 (CC, Common Criteria)

  • 정보 보호 제품 평가 기준

개인정보 영향평가 제도 (PIA, Privacy Impact Assessment)

  • 기존 정보시스템의 중요한 변경 시 고객은 물론 국민 사생활에 미칠 영양헤 대해 미리 조서, 분석, 평가하는 제도

그레이웨어 (Grayware)

  •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악의적이지 않은 소프트웨어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유용할 수도 있고 악의적일 수도 있는 애드웨어, 트랙웨어나 악성 공유웨어

매시업 (Mashup)

  •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를 만드는 기술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RIA, Rich Internet Application)

  •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통합하여 인터랙티브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의 플래시 웹페이지 제작 기술

시맨틱 웹 (Semantic Web)

  •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어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

증발품 (Vaporware)

  • 판매 계획 또는 배포 계획은 발표되었으나 실제로 고객에게 판매되거나 배포되지 않고 있는 소프트웨어

오픈 그리드 서비스 아키텍처 (OGSA, Open Grid Service Architecture)

  •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를 그리드 상에서 제공하기 위해 만든 개방형 표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고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여러 기능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에스크로 (Software Escrow)

  • 소스 프로그램과 기술 정보 등을 제 3의 기관에 보관하는 것

복잡 이벤트 처리 (CEP, Complex Event Processing)

  •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사건들 중 의미가 있는 것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사건 발생 조건을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디지털 트윈 (Digital Twin)

  • 현실속의 사물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모델

172. 소프트웨어 개발 직무별 보안 활동

소프트웨어 개발 직무별 보안 활동

  •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서는 각 직무별로 수행해야 할 보안 활동을 정의해야함

프로젝트 관리자 (Project Manager)

  •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보안 전략을 조직 구성원들에게 전달
  • 조직의 상태 모니터링

요구사항 분석가 (Requirement Specifier)

  • 아키텍트가 고려해야 할 보안 관련 비즈니스 요구사항 설명

아키텍트 (Architect)

  • 보안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안 기술 문제를 충분히 이해
  • 시스템에 사용되는 모든 리소스 정의 및 각 리소스별로 적절한 보안 요구사항 적용

설계자 (Designer)

  • 특정 기술에 대해 보안 요구사항 만족성 여부 확인
  • 문제 발생 시 최선의 문제 해결 방법 결정
  •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위협에 대해 적절히 대응

구현 개발자 (Implementer)

  • 시큐어코딩 표준을 준수하여 개발

테스트 분석가 (Test Analyst)

  • 소프트웨어 개발 요구사항과 구현 결과를 반복적으로 확인

보안 감사자 (Security Auditor)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전체 단계에서 활동하며, 현재 상태의 보안을 보장
  • 요구사항 검토 시 적합성과 완전성 확인

174. HW 관련 신기술

고가용성 (HA, High Availability)

  • 긴 시간동안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장애 발생 시 즉시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매커니즘

4D Printing

  • 특정 시간이나 환경 조건이 갖추어지면 스스로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제조되는 자가 조립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프린팅하는 기술

RAID (Redunt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들에 분산 저장하여 디스크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

앤 스크린 (N-Screen)

  •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컴패니언 스크린 (Companion Screen)

  • 앤 스크린의 한 종류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의미

신 클라이언트 PC (Thin Client PC)

  • 기본적인 메모리만 갖추고 서버와 네트워크로 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

패블릿 (Phablet)

  • Phone + Tablet

멤스 (MEMS, Micro-Electro Mechinical System)

  • 초미세 장치

트러스트존 기술 (TrustZone Technology)

  • ARM에서 개발한 기술로,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기술

엠디스크 (M-DISC)

  • 한 번의 기록만으로 자료를 영구 보관할 수 있는 광 저장 장치

멤리스터 (Memristor)

  • Memory + Register

175. Secure OS

Secure OS의 개요

  • 기존 운영체제에 내재된 보안 취약적음 해소하기 위해 보안 기능을 갖춘 커널을 이식하여 시스템 자원을 보호하는 것
  • 보호 방법 구현
    • 암호적 분리 : 내부적 정보 암호화
    • 논리적 분리 : 프로세스 논리적 구역을 지정하여 구역을 벗어나는 행위 제한
    • 시간적 분리 : 동일 시간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수행되도록함
    • 물리적 분리 : 사용자별로 특정 장비만 사용하도록 제한
  • 참조 모니터 (Reference Monitor)
    • 보호대상의 객체에 대한 접근통제를 수행하는 추상머신
    • 특징
      • 격리성 (Isolation)
      • 검증가능성 (Verifiability)
      • 완전성 (Completeness)

Secure OS의 보안 기능

  • 식별 및 인증
  • 임의적 접근통제
  • 강제적 접근통제
  • 객체 재사용 보호
  • 완전한 조정
  • 신뢰 경로
  • 감사 및 감사기록 축소

176. DB 관련 신기술

빅데이터 (Big Data)

  • 막대한 양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

브로드 데이터 (Broad Data)

  • 이전에 사용하지 않거나 알지 못했던 새로운 데이터나, 기존 데이터에 새로운 가치가 더해진 데이터

메타 데이터 (Meta Data)

  •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주는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빙 (Digital Archiving)

  • 디지털 정보 자원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작업
  • 아날로그 콘텐츠는 디지털로 변환한 후 압축해서 저장하고, 디지털 콘텐츠는 메타 데이터를 만들어 DB화

하둡 (Hadoop)

  •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타조 (Tajo)

  • 하둡 기반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

데이터 다이어트 (Data Diet)

  •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하고, 중복된 정보는 죽복을 배제하며, 새로운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저장하는 작업

177. 회복 / 병행제어

회복 (Recovery)

  • 트랜잭션 수행 도중 장애가 발생하여 데이터베이스가 손상되었을 때 손상되기 이전의 정상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
  • 장애 유형
    • 트랜잭션 장애
    • 시스템 장애
    • 미디어 장애
  • 회복 관리기 (Recovery Management)
    • DBMS의 구성 요소
    • 메모리 덤프, 로그를 이용하여 회복 수행

병행제어 (Concurrency Control)

  • 동시에 여러 개의 트랜잭션을 병행수행할 때,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트랜잭션 간의 상호 작용을 제어하는 것
  • 목적
    • 데이터베이스의 공유, 시스템 활용도 최대화
    • 데이터베이스 일관성 유지
    • 사용자에 대한 응답 시간 최소화

병행수행의 문제점

  • 갱신 분실 (Lost Update)
    • 두 개 이상의 트랜잭션이 같은 자료를 공유하여 갱신 시 일부가 없어지는 현상
  • 비완료 의존성 (Uncommitted Dependency)
    • 하나의 트랜잭션 수행이 실패한 후 회복되기 전에 다른 트랜잭션이 실패한 결과를 참조하는 현상
  • 모순성 (Inconsistency)
    • 두 개의 트랜잭션이 병행수행될 때 원치 않는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
  • 연쇄 복귀 (Cascading Rollback)
    • 병행수행되던 트랜잭션들 중 어느 하나가 Rollback하는 경우 다른 트랜잭션도 함께 Rollback되는 현상

178.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표준화의 정의

  • 데이터 표준화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요소의 명칭, 정의, 형식, 규칙에 대한 원칙을 수립하고 적용하는 것
  • 데이터 표준화의 구성 요소
    • 데이터 표준
    • 데이터 관리 조직
    • 데이터 표준화 절차

데이터 표준

  • 데이터 모델이나 DB에서 정의할 수 있는 모든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데이터 표준화 수행
  • 데이터 표준의 종류
    • 표준 단어 : 업무에서 사용하고 일정한 의미를 갖는 최소 단위의 단어
    • 표준 도메인 : 컬럼을 성질에 따라 그룹핑한 개념
    • 표준 코드 : 기준에 맞게 이미 정의된 코드값
    • 표준 용어

데이터 관리 조직

  • 데이터 표준 원칙이나 데이터 표준 준수 여부 등을 관리하는 사람들 (데이터 관리자, DA)
  • DA는 조직 내 데이터에 대한 정의, 체계화, 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

데이터 표준화 절차

  1. 데이터 표준화 요구사항 수집
  2. 데이터 표준 정의
  3. 데이터 표준 확정
  4. 데이터 표준 관리

데이터 표준화의 대상

  • 데이터 명칭 : 데이터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유일성, 의미 전달의 충분성, 업무적 보편성을 갖는 이름으로 정의
  • 데이터 정의 : 제3자의 입장에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규정
  • 데이터 형식 : 사용 목적과 유사한 데이터에 대해 일관되게 데이터 형식 정의
  • 데이터 규칙 : 데이터의 정합성 및 완전성 향상

참고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2020년 정보처리기사 NCS기반 전면 개편!정보처리기사 시험은 NCS 학습 모듈 중 정보통신 분야의 ‘정보기술’ 분류에 포함된 ‘정보기술개발’과 ‘정보기술운영’에 속한 125개의 학습 모듈을

book.naver.com